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심리학도서
- 임상심리사
- 독서치료사
- 심리상담
- dsm-5
- 문학치료사
- 사춘기심리상담
- 이재연교수
- 이상심리학
- 시치료사
- 독서심리
- 독서심리치료사자격증
- 문학치료
- 심리상담비용
- 이상심리
- 독서심리치료사
- 청소년심리상담
- 시치료사자격증
- 독서심리지도사자격증
- 독서치료자격증
- 불안장애
- 시치료
- 독서치료
- 자녀상담
- 독서치료사자격증
- 독서심리치료
- 독서심리치료지도사
- 심리학아카데미
- 시치료지도사
- 독서심리지도사
- Today
- Total
독서심리지도사010-2788-3025
[독서치료이론1] 문장 접근과 작문적 접근(rhetorical approach) 본문
의문문으로 바뀌지 않는 평서문은 없다. 거꾸로 평서문으로 바뀌지 않는 의문문도 없다. 대부분의 평서문을 의문문으로 바꿔서 보면 그 글의 의미를 조금 더 깊게 알 수 있다. 문단의 도입문은 평서문이든 의문문이든 그 글 전체의 핵심 질문이 될 가능성이 가장 높다. 그리고 이어지는 문장들은 이유, 예시, 비교, 비유, 과정과 같은 문장들이 연결되면서 마지막 결문을 이끈다.
담론(discourse)이 성립되지 않으면 소통(communication)이 이뤄지지 않는다. 그래서 이유를 나타내는 ~때문에, 예시를 나타내는 ~로 보아, 비교를 나타내는 ~ 비교해 볼 때, 비유를 말하는 비유컨대 처럼 전개되는 이야기들이 문단의 기본 틀을 이루게 된다.
독서치료의 접근에는 두 가지가 있다.
문장 하나하나를 세밀하게 읽으면서 '문장' 단위의 관점을 키워나가는 접근이 있다. 또 사고력을 앞세워서 글 전체의 의미를 밝히는 '문단' 단위의 관점은 작문적 접근(rhetorical approach)이라고 한다. 내담자의 정신적 상처에 따라서 문장을 기준으로 치료할지, 아니면 문단을 기준으로 치료할지 다르다.
글을 쓴 저자의 의도와 표현, 제재와 주제, 주장과 근거, 문단의 구조, 통일성과 긴밀성, 사고의 논리적 전개, 분위기와 정서 또는 어조에 관한 내담자의 감상 등 글 전체의 의미를 요약하고 해석하고 평가하도록 상담자는 상담을 이끌게 된다.
_이재연(교육학 박사<상담전공>)
현) 고려대학교 대학원 아동언어코칭전공 강의전담교수
전) 국제문화대학원대학교 상담전공 조교수
현) (사)한국청소년지도학회 상임이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