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시치료사
- 심리학도서
- 이재연교수
- 시치료사자격증
- 심리학아카데미
- 이상심리학
- 자녀상담
- 시치료지도사
- 독서치료사
- 독서심리지도사자격증
- 독서치료사자격증
- 독서심리지도사
- 독서심리치료
- 독서치료
- 독서심리치료사자격증
- 독서치료자격증
- 불안장애
- 사춘기심리상담
- 독서심리
- dsm-5
- 독서심리치료사
- 임상심리사
- 독서심리치료지도사
- 심리상담비용
- 이상심리
- 문학치료
- 문학치료사
- 심리상담
- 청소년심리상담
- 시치료
- Today
- Total
독서심리지도사010-2788-3025
공황 불안과 공황 발작 진단 기준(DSM-5) 본문

공황 발작 진단기준
1. 심장이 마구 뛰거나 맥박이 빨리지는 느낌
2. 갑작스럽게 땀이 많이 남
3. 손발이나 몸이 떨림
4. 숨이 가빠짐
5. 질식할 것 같은 느낌
6. 가슴이 아프거나 답답하게 느껴지는 불쾌감
7. 토할 것 같이 메슥거리거나 ㅎ속이 불편함
8. 머리가 어지럽고 쓰러질 것 같은 느낌
9. 주변이 비현실적으로 느껴짐 또는 이인감(자신이 세상과 분리된 것 같이 이상하게 느껴짐)
10. 자제력을 잃거나 미칠 것 같아서 공포스러움
11. 오한이 나고 얼굴이 화끈거림
12. 몸의 감각이 둔해지거나 저릿저릿하게 마비되는 것 같음
13. 죽을 것 같은 공포
*13개 중 4개 이상 발생하면 공활발작에 해당합니다.
단 한 번 이런 증상이 나타나면 공황발작입니다.
하지만!!! 한 번 이상 여러번 이런 공황발작이 재발하면 그때 우리는 공황장애라고 부릅니다.
공황장애의 가장 큰 문제는 또다시 이런 공황발작이 일어날거야! 라는 불안입니다.
미리 불안해하는 겁니다.
이것을 '예기불안(anticipatory anxiety)'이라고 합니다.
미리 불안해하기 때문에 머리와 몸이 얼어붙게 됩니다.
움직이지 못하는 증상이 심장에 가장 크게 나타나면서 엄청난 속도로 심장박동이 빨라집니다.
불안장애의 한 유형인 공황불안은 근본적인 생활과 심리를 치료해야 합니다.
항불안제는 길게 복약하면 안 되는 약입니다.
그러니 꼭 심리상담과 병행하시길 바랍니다.
또한 자신의 삶의 패턴을 관찰하고 근본적으로 자신의 불안을 치료받을 수 있길 바랍니다.
아래에 심리교육을 올려드립니다.
절대 늦은 것은 없습니다. 하루라도 빠르게 자신의 심리를 파악하고 치료받으시길 바랍니다.
https://blog.naver.com/englishdaum/223621069915
2025년 독서심리지도사 과정 6기 모집
나는 방금 책꽃이에서 한 권의 책을 꺼내 읽었다. 나는 이미 조금 전의 내가 아니다. 화려한 포토샵으로 광...
blog.naver.com
https://blog.naver.com/englishdaum/223748286332
2025년 이상심리학의 이해와 실제 교육 워크숍 안내
2025년 '이상심리학의 이해와 실제' 교육 워크숍 안내(1차) 1. 교육날짜: 4월 12일(토) 2. 교육...
blog.naver.com




#불안장애 #불안증 #공황 #발작 #발작증세 #이상심리 #DSM-5 #진단기준 #심리 #청소년심리학 #사춘기심리
#병원진료 #병원치료
'독서심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춘기 자녀 심리에 대해 부모가 이해해야 하는 내용(이재연교수) (0) | 2025.02.20 |
---|---|
2025년 이상심리학의 이해와 실제 교육 워크숍 안내(1차) (1) | 2025.02.19 |
강박증 진단기준(자가진단표) DSM-5 (0) | 2025.02.13 |
범불안장애 진단기준 6가지 (0) | 2025.02.13 |
심리학 책 도서 추천 (1) | 2025.0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