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시치료사자격증
- 시치료사
- 자녀상담
- 심리학도서
- 독서심리치료사자격증
- 이상심리
- 독서심리지도사
- 독서치료사
- 청소년심리상담
- 불안장애
- 독서심리
- 독서심리지도사자격증
- 심리학아카데미
- 독서심리치료사
- 문학치료사
- 심리상담비용
- dsm-5
- 이재연교수
- 사춘기심리상담
- 독서치료사자격증
- 문학치료
- 독서심리치료지도사
- 독서치료
- 시치료
- 시치료지도사
- 이상심리학
- 심리상담
- 독서심리치료
- 임상심리사
- 독서치료자격증
- Today
- Total
독서심리지도사010-2788-3025
김호중 발라드 '살았소', 그의 진한 음성으로 아픔을 달래다. (칼럼2) 본문
2020년 발표된 '살았소'의 가사를 보겠습니다.
--------------------------------------------
살다 보면 많이 힘들고 아플 때가 있어
긴 터널을 지나다 보면 괜찮아질 거야
그래 시간 지나 다 알게 될 거야
진정으로 살아왔으니
말을 하지 않아도 표현하지 않아도
곁에서 나를 항상 지켜준 당신
살았소 살았소 나 당신을 위해서 살겠소
내가 존재하는 이유가 살아가는 이유가
당신이라 감사하오
주저앉고 싶을 때 포기하고 싶을 때
변함없이 날 웃게 해준 당신
살았소 살았소 나 당신을 위해 살겠소
내가 존재하는 이유가 살아가는 이유가
당신이라서
몰랐소 몰랐소 당신도 힘들었다는 걸
이제는 나 이제는 당신을 위해서 살겠소
내가 존재하는 이유가 살아가는
이유가 당신이라서 감사해
내가 존재하는 이유가 살아가는 이유가
당신이라서 내가 살았소
----------------------------------------------
'살았소'는 지금까지 살아왔다는 의미입니다. '삶'의 어원은 '사이', '살다', '사람'입니다. 즉 이 노래의 제목만으로도 별님은 '사람들 사이'의 관계를 너무나 소중하게 여기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위 가사에서 '긴 터널을 지나다 보면 괜찮아질 거야'라는 가사에 눈길과 귀가 멈춤니다. 힘든 삶도 어려운 일도 결국 끝이 막혀 있는 동굴이 아니라 언젠가는 잊히고 지나가는 터널이라는 것. 이 가사를 듣고 또 듣다 보면, 쌓였던 우울이 씻기고 다시 일어설 수 있는 용기를 품게 됩니다.
2019년 미국 유타대학교 그레고쥬 불라이 교수팀은 신경학회지에 통증 및 간질의 동물 모델에서 음악 강화 진통 및 항 발작 활동: 디지털 치료법의 개발 및 의약품과의 조합을 지원하는 전임상 연구를 위해(Music-Enhanced Analgesia and Antiseizure Activities in Animal Models of Pain and Epilepsy: Toward Preclinical Studies Supporting Development of Digital Therapeutics and Their Combinations With Pharmaceutical Drugs)'라는 논문을 발표했습니다.
이 논문에서는 실험쥐 8마리에게 꾸준히 소염 진통제인 이부프로펜 25밀리그램을 투여하면서 음악을 들려주었습니다. 잔잔한 곡 위주로 리스트를 짜서 들려주었습니다. 이 연구의 결과, 놀랍게도 음악을 듣지 않고 진통제만 투여받은 쥐들의 염증은 70% 줄었지만, 음악을 들으면서 진통제를 투여받은 쥐들의 염증은 93%까지 감소했습니다.
이 연구처럼 분명히 과학적으로도 음악은 진통제 효과가 있습니다. 진통제 약의 효과를 높여주기 때문에 통증을 느끼는 환자에게는 음악을 많이 들으면 진통제 복욕량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입니다. 저는 힘들고 지칠 때 시선의 끝에 별님의 노래가 있습니다. 그의 음악이 내준 편안함 덕분에 삶을 살아가는 길 위에서 온몸을 따뜻하게 감싸는 마음이 충만해집니다.
갈등의 불을 끄고 아늑함의 옷깃을 잡기 위해 오늘도 별님의 노래를 반복해서 듣습니다.
by 이재연(고려대학교 대학원 아동코칭학과 강의전담교수)
'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년 별님을 기다리면 칼럼을 다시 시작합니다.(칼럼1) (0) | 2022.02.05 |
---|